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퇴직금 중간정산, 세금은 얼마나 나올까?

by bubblylove 2025. 3. 28.
반응형

 

퇴직금은 오랜 근속의 보상으로 받는 소중한 자산입니다. 하지만 갑작스럽게 큰돈이 필요할 때, 퇴직금을 미리 일부 정산하는 '퇴직금 중간정산' 제도를 활용할 수 있어요. 그런데 이때 가장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부분이 바로 세금입니다.

이 글에서는 퇴직금 중간정산 시 세금이 어떻게 부과되는지, 어떤 기준으로 계산되는지 정리해드릴게요.


✅ 퇴직금 중간정산이란?

퇴직금은 원칙적으로 퇴직 시에 일괄 지급됩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특별한 사유에 해당될 경우에는 중간정산이 가능해요:

  • 무주택자가 주택을 구입하거나 전세자금을 마련할 때
  • 본인이나 배우자, 부양가족의 질병 치료비가 급히 필요할 때
  • 자연재해로 피해를 입었을 때
  • 개인파산 또는 개인회생 절차를 밟을 때 등

단, 회사의 동의가 필요하며, 정산 사유에 해당하는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 중간정산 시 퇴직소득세, 부과될까?

가장 중요한 부분!
퇴직금 중간정산 시에도 '퇴직소득세'가 부과됩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근로소득세와는 다르게 퇴직소득세는 ‘분리과세’되며, 정산 시점의 근속기간과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돼요.

🧮 퇴직소득세 계산 기준

퇴직소득세는 아래의 3단계를 거쳐 계산됩니다:

  1. 퇴직소득금액 계산
    = [(총 퇴직금 - 비과세 금액) × 근속연수보정]
  2. 퇴직소득공제 적용
    = 근속연수에 따라 일정 금액 공제
  3. 과세표준 산출 후 세율 적용
    = 누진세율 구조에 따라 세금 계산 (6% ~ 42%)

즉, 중간정산 시점의 퇴직금에 대해서도 근속기간, 금액 등을 고려하여 세금이 계산되며, 그 금액은 회사가 원천징수하여 납부하게 됩니다.

 


⚠️ 주의사항

  • 중간정산 후에도 퇴직금은 계속 누적되므로, 전체 퇴직금 규모가 커질 경우 이후 정산 시 더 많은 세금이 부과될 수 있어요.
  • 세무서에 따로 신고할 필요는 없고, 회사가 처리해줍니다.
  • 중간정산 금액도 향후 연말정산이나 종합소득세 신고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 마무리하며

퇴직금 중간정산은 삶의 중요한 전환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제도지만, 세금 부분을 정확히 알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상하지 못한 세금으로 당황하지 않도록, 꼭 사전에 계산해보고 결정하세요.

반응형